리브메이트 일반상식 퀴즈! 70회차 2019.01.07~2019.01.13
일반 상식퀴즈 70회차가 시작되었습니다.
문제를 확인해 봤는데 그리 어렵지 않더라구요.
차근차근 보시죠.
1. 피노키오의 뜻은?
=> 솔방울
pinocchio에서 pino는 이탈리아어 pinolo로서 영어로는 pine nut이라는 뜻 입니다. 소나무 열매, 즉 솔방울이죠.
-cchio 는 축소사라고 하여, 영어에서 -ette 처럼 작다, 귀엽다는 뜻을 가지는 접미사입니다.
정리하면, pinocchio 는 '작은 솔방울' (little pine nut)이라는 뜻입니다.
제페토 할아버지가 소나무를 깎아서 만들었기 때문인가봐요.
2. 콩 <서리태>는 서리를 맞아야 익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O
두산백과에서 서리태를 검색한 결과의 일부를 가져와 봤습니다.
서리태
껍질은 검은색이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작물의 생육 기간이 길어서 10월경에 서리를 맞은 뒤에나 수확할 수 있으며, 서리를 맞아 가며 자란다고 하여 서리태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3. 이방원의 시조에 화답한 시조의 구절은?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이 시조는 태종 이방원이 고려 충신이었던 정몽주의 진심을 떠 보고 회유 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부른 작품인 하여가 입니다.
이 시조에 화답한 정몽주의 시조는 단심가라고 하는데요.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조선조 개국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표하는 시조가 되었습니다.
여담이지만 이 시조가 개국 후에는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노래로 널리 퍼졌다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일반 상식퀴즈 71회차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