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리브메이트

리브메이트 데이터실험실 20.08.17 (월)~ 20.08.26(수) #소비풍경2 #제주도 #카페

인생리뷰어 K군 2020. 8. 17. 13:3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군입니다.


새로운 데이터실험실 문제가 나왔습니다.


한달전에 정답을 맞춘 뒤로는 

한번도 정답을 못맞추고 있는 K군입니다.

신뢰도가 바닥을 치고 있어요....


출제진을 향한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애초에 찍어야 되는 형태의 문제들을 출제해왔으니

어쩔수 없겠죠 ㅠ


문제를 한번 보겠습니다.

여름 휴가와 관련된 소비형태의 변화 문제군요.


여름 휴가 제주도로 다녀오신분 손!

20년 7월 제주도 카페 업종의

신용/체크카드 결제 금액은

19년 7월보다 약 OO%. 증가했다.


문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작년 동월대비 결제 금액이 

"두자릿 수로 증가했다"

는 점이군요.


소소한 팩트도 보겠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며

제주도로 떠나는 여행객이 늘고 있다.

동기간 제주도의 일부 음식 관련 업종과

특급관광호텔 업종의

신용/체크카드 결제 금액 역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미 문제에서 증가했다는걸 확인했으니..

소소한 팩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음식 관련업종과 특급관광호텔 업종의

결제 금액이 "소폭" 상승했으니

카페업종도 "소폭" 상승하지 않았겠냐...

정도의 유추외엔 얻을 것이 없네요.


검색해도 안나오는 문제를 내는 건

다 좋은데, 힌트로 제공되는 단서는

도움이 좀 되는 정보를 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그래도 아예 찍을 수는 없으니 조금 찾아봤습니다.


(출처링크: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경제브리프)


한국은행 제주본부에서 매월

제공하는 제주경제브리프라던지.


(출처링크 : 제주연구원 제주경제동향)


제주연구원에서 매월 제공하는

제주경제동향이라던지.


(출처 링크 : 제주관광공사 보도자료)


제주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소비영향 분석 보도자료라던지..


그나마 참고라도 될만한 내용이라면,

제주관광공사의 보도자료에 포함된 첨부파일에서,

해당 자료는 카페 업종만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니 단순히 비교할순 없지만,

6월에 16%까지 회복했다고 했으니

7월에는 16%보다는 더 상승세이지 않을까.. 

하는 추측 정도겠군요.


다만, 7월의 길고도 길었던

장마가 영향을 줬을 거라고 생각해보면,

16%에서 크게 올라가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작년 7월이면

휴가지로 해외여행을 많이들 선택하셨을테고..

코로나에 장마의 여파를 생각하면

20%대까지 상승하지는 않았을거란 생각이 드네요.


저의 정답예상은! 11%~19% 입니다.

저는 17%를 골랐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정답이 아니라

저의 예상이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틀렸다고 저를 타박하시면 안됩니다.ㅡ,.ㅜ

그냥 찍는거죠 이런건..

지난번 문제를 보아서는 

소소한 팩트도 전혀 도움이 안되고.....

쩝.


---------------------------------------------------------------


아...


이렇게나 제주도를 많이 가셨을 줄이야...


정말 우울하구만요 ㅋㅋㅋㅋ




그럼 내일 뵙죠.

유용하게 보셨다면 아래의 공감버튼 한번만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